1. 자수.음(子水.陰), 쥐
자수(子水)는 사주팔자에서 지지 중 하나로 쥐를 상징합니다. 이는 간지(干支) 체계에서 사용되며, 간(干)은 천간(10개), 지(支)는 지지(12개)를 나타냅니다.
풀이:
- 음(陰)의 수(水): 자수는 음(음력, Yin)의 수(水)에 해당합니다. 음수는 양수보다는 어둠과 조용함을 상징하며, 자수 역시 어둠 속에서 부지런하게 활동하는 쥐를 나타냅니다.
- 음력 자월(11.자월): 자수는 음력(음양력, Lunar calendar) 11월에 해당하며, 한밤중과 어둠을 나타내는 동시에, 새로운 시작을 의미합니다.
- 음양오행(陰陽五行) 일치: 자수는 천간(간, Yang)에 있는 계수(癸水)와 음양오행이 동일하여, 둘은 비슷한 성격을 지닌다고 여겨집니다.
- 쥐와 음의 수(水): 자(子)는 쥐를 나타내며, 쥐는 두려움이 많고 예민한 동물로 표현됩니다. 쥐는 높은 번식력을 갖고, 자식을 지극히 사랑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대설(大雪) 절기와 자월: 대설이 지나고 자월(11.자월)이 시작되는 시기로, 이는 한밤중과 어둠을 나타내는 동시에, 새로운 시작을 의미합니다.
- 방향과 지자(支子): 정북(正北)을 나타냅니다.
- 씨앗, 정자와 난자, 성욕과 모태(母胎): 자수는 씨앗이나 종자를 의미하며, 인간의 정자와 난자, 성욕과 모태를 상징합니다.
- 음수(陰水)와 자수(子水): 지상의 생명체들이 음용하고 사용할 수 있는 물은 모두 음수(자수)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산골짝 돌산에서 흐르는 석간수, 옹달샘 운무, 이슬, 계곡물, 냇물, 수돗물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자수(子水)는 쥐의 상징을 통해 음(陰)의 특성을 갖추고, 음력 11월에 해당하여 어둠 속에서 새로운 시작을 나타냅니다. 또한, 씨앗이나 물 등 다양한 음수와 관련하여 지상의 생명체들이 사용하는 물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2. 축토.음(丑土.陰), 소
축토(丑土)는 사주팔자에서 지지 중 하나로, 소를 상징합니다. 이는 간지(干支) 체계에서 사용되며, 간(干)은 천간(10개), 지(支)는 지지(12개)를 나타냅니다.
풀이:
- 음(陰)의 토기(土氣): 축토는 음(음력, Yin)의 토기에 해당하며, 음력 12월인 축월(12.축월)에 위치합니다.
- 음양오행(陰陽五行) 일치: 축토는 천간(간, Yang)에 있는 기토(己土)와 음양오행이 동일하여, 둘은 비슷한 성격을 지닌다고 여겨집니다.
- 근면, 성실, 고집이 강한 소: 축(丑)은 소를 상징하며, 소는 근면하고 성실하며 고집이 세고, 본분에 충실하며 불평불만 없이 최선을 다하는 동물로 표현됩니다.
- 소한 절기와 축월: 소한이 도래하는 시각부터 축월(12.축월)에 접어드는 시기이며, 북동간(北東間)을 나타냅니다. 축월은 늦 겨울에서 초봄으로 넘어가는 환절기이며, 씨앗을 숙성시키는 시기로 여성의 태반과 양수를 나타낼 때도 있습니다.
- 습하고 동결된 동토와 축토: 축토는 습하고 동결된 12월의 동토에서 식물이 성장하기에는 부적절하지만, 씨앗을 보호하고 성장을 도와주는 토양입니다.
- 성격적 특징: 축토는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고 보수적이며, 서두르지 않고 침착하며, 근면하고 성실하며 고집이 강하고, 외향적이기 보다는 내향적이며 가정적입니다. 또한, 포용력이 많고 감정을 쉽게 드러내지 않아 속내를 짐작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음(음력, Yin)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됩니다.
축토(丑土)는 소의 특성을 통해 음의 성격을 나타내며, 소한이 지나고 봄이 다가오는 시기로서, 씨앗을 심고 숙성시키는 역할을 갖고 있습니다.
3. 인목.양(寅木.陽) 호랑이
인목(寅木)은 사주팔자에서 지지 중 하나로, 호랑이를 상징합니다. 이는 간지(干支) 체계에서 사용되며, 간(干)은 천간(10개), 지(支)는 지지(12개)를 나타냅니다.
풀이:
- 양(陽)의 목질(木質): 인목은 양력 정월(1.正月)에 해당하며, 양(양력, Yang)의 목질에 속합니다.
- 천간과 음양오행 일치: 인(寅)은 천간에 있는 갑(甲木)과 음양오행이 동일하다고 여겨집니다.
- 호랑이 특징: 인(寅)은 12 동물 중 호랑이를 상징하며, 호랑이는 지휘자, 인솔자, 용맹, 위엄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 양력과 음력의 시작: 양력에서는 신정 1월 1일을 기점으로 하지만, 명리에서는 음력 구정으로 인한 새해의 시작을 주장합니다. 인월(寅月)은 실질적으로 초봄이 시작되는 날이며, 겨울을 지나 봄이 시작된다고 해석됩니다.
- 일상과 일년의 시작, 계절의 시작: 인시(寅時)부터 일상이 시작되며, 일년의 시작은 인월(寅月)부터이며, 계절의 시작도 인월은 초봄을 나타내며, 방향은 동방(東方)을 대표합니다.
- 인목의 특성: 인목은 낙락장송(落落長松) 거목(巨木)과 같이 지엽이 무성하고 많치 않으며, 높이 성장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환경이 불량하면 성목으로 성장이 어려우며, 세파에 부딪혀 부러지면 다시 소생하지 못하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 호랑이 송백목: 호랑이 송백목은 새벽 초춘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큰 포부와 듬직함, 강한 추진력과 리더십을 지녔다고 설명됩니다. 그러나 환경이 불량하면 시기와 질투, 변덕이 강화될 수 있다고 언급됩니다.
4. 묘목.음(卯木.陰) 토끼
묘목(卯木)은 사주팔자에서 나타나는 지지 중 하나로, 토끼를 상징합니다. 이는 간지(干支) 체계에서 사용되며, 간(干)은 천간(10개), 지(支)는 지지(12개)를 나타냅니다.
풀이:
- 음의 목질: 묘목은 음력 묘월(2.卯月)에 해당하며, 음의 목질을 지니고 있습니다.
- 천간과 음양오행 일치: 묘(卯)는 천간에 있는 을목(乙木)과 음양오행이 동일하다고 여겨집니다.
- 토끼 특징: 묘(卯)는 12 동물 중 토끼를 나타내며, 토끼는 양순하고 총명하며 욕심이 많고 다산종이며, 생기와 활기가 넘치며 정력이 왕성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봄철과 성장기: 봄철인 묘월은 완연한 봄철로서, 새싹이 돋아나고 성장이 활발한 시기입니다. 이는 인간에 비유하면 탄생해서 유아기를 거쳐 한창 성장하는 소년기를 의미하며, 방향은 정동(正東)입니다.
- 끈질긴 생명력: 묘목은 천간의 을목과 함께 생활환경 적응력이 뛰어나고 끈질긴 생명력을 가진 생목이나 습목 등에 비유됩니다. 성격은 유순하고 마음이 여리며 온화하며, 사교적이고 생활력이 강하다고 설명됩니다.
- 환경에 민감한 특성: 주변 환경이 불량하면 묘목은 비현실적이고 변덕이 심하며 주장력이 약해져 주변에 휩쓸리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고 언급됩니다.
5. 진토.양(辰土.陽) 용
진토(辰土)는 간지(干支) 중 하나로, 여기서는 용을 나타냅니다. 간(干)은 천간(10개), 지(支)는 지지(12개)를 나타내며, 이는 중국의 음양오행 및 천간지지 체계에서 파생된 운세 체계입니다.
풀이:
- 양의 토양: 진토는 양(陽)의 토양으로, 음력 진월(3.辰月)에 해당합니다.
- 천간과 음양오행 일치: 진(辰)은 천간에 있는 무토(戊土)와 음양오행이 동일하다고 여겨집니다.
- 용의 상징: 진(辰)이 나타내는 용은 상상 속의 동물로, 성서롭고 영묘한 동물로 숭앙됩니다. 특히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용은 높은 이상을 상징합니다.
- 청명 절기와 환절기: 청명 절기로 인해 봄철에서 초 여름으로 넘어가는 환절기에 해당하며, 성장과 꽃 피우는 준비가 활발한 시기입니다.
- 사춘기 비유: 인간의 사춘기와도 연결지을 수 있으며, 초소년기에서 청년기로 넘어가는 시기로 비유됩니다. 음의 물에 비해 양의 뜨거운 불기운을 갖춘 건조한 토양으로 표현됩니다.
- 용질과 성격 특성: 초목 성장에 알맞은 양질의 토양으로 표현되며, 꿈과 이상이 높고 진취적이지만 현실에는 무감각하고 무뚝뚝한 면이 있습니다. 주변 환경에 따라 광폭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근기가 부족하고 비현실적인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호운을 만나면 발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6. 사화.양(巳火.陽) 뱀
사화(巳火)는 양(陽)의 화기(火氣)를 나타내며, 여기에서는 뱀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음력 4월 사월: 사화는 양력 4월에 해당하는 음력 사월(4.巳月)에 나타납니다.
- 천간과 음양오행 일치: 사(巳)는 천간에서 병화(丙火)와 동일하다고 풀이됩니다.
- 뱀의 특성: 뱀은 독기를 품고 있지만 청결하며 예민하며 기회를 놓치지 않는 동물로 표현됩니다. 선재하고 공격적이지 않으며 자신의 위치를 지키려 하는 성향이 강하다고 설명되었습니다.
- 절기와 방향: 사화는 입하(立夏) 절기로 초여름인 여름이 시작되는 시기이며, 방향으로는 남방(南方)을 나타냅니다.
- 꽃망울과 개화기: 꽃망울이 꽃을 피우기 시작하는 개화기(開花期)로, 사춘기를 거쳐 청년기에 해당된다는 비유가 있습니다.
- 열기와 성격 특성: 화기는 불이 나가는 열기로, 무심하게 이것저것에 관심을 두지 않고 일관되고 결연한 성격을 나타냅니다. 세속에서 화끈하고 정열적이며 자존심이 강하다고 설명되었습니다.
- 화기의 특성: 화기는 기적(氣)이 강하게 발산되는 특성을 지니며, 음덕(陰德)이 강하게 암흑을 밝힌다고 풀이되었습니다. 세속에서는 화끈하고 정열적이며 사리에 대한 분별력이 뛰어나다고 설명되었습니다.
- 성격의 변화: 화기가 강하거나 약할 경우 성격이 의심이 많아지거나 폭력적인 경향을 보일 수 있다
7. 오화.음(午火.陰) 말
오화(午火)는 음(陰)의 화기(火氣)를 나타내며, 여기에서는 말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음력 5월 오월: 오화는 양력 5월에 해당하는 음력 오월(5.午月)에 나타납니다.
- 천간과 음양오행 일치: 오(午)는 천간에서 정화(丁火)와 동일하다고 풀이됩니다.
- 맹렬한 열기: 망종(芒種) 절기 이후 오월이 시작되면서 맹렬한 열기가 작렬하는 시기입니다. 방향은 남향(南向)이라고 설명되었습니다.
- 꽃이 만발하는 시기: 꽃이 만발하는 오월은 봄철에서 가장 활발한 성장을 나타내며, 인간에게는 최고 활동기, 최절정기로 비유됩니다.
- 밝고 온화한 화기: 오화를 지닌 사람들은 따뜻하고 포근하며 화려하다고 표현되었습니다. 밝고 온화한 불과 같이 모든 사람에게 인정받는다고 설명되었습니다.
- 성격 특성: 오화를 지닌 사람들은 화술이 뛰어나고 사교적이며 예의 바르다고 풀이되었습니다. 모성애와 봉사정신이 뛰어나며 항상 활발하고 긍정적이지만, 환경이 불량하면 이중적이고 변태적일 수 있다고 설명되었습니다.
- 부정적인 특성: 환경이 불량할 경우 무례하고 변덕이 심하며 방탕하고 무리한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고 풀이되었습니다.
이 풀이는 오화(午火)를 지닌 사람들의 특성과 성격을 일반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개인의 실제 성향은 여러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8. 미토.음(未土.陰) 양
미토는 6월에 해당하며 토양을 나타내는데, 천간에 있는 기토와 오행이 동일합니다. 미는 양(羊)을 상징하며 인내심과 고집이 강하고, 화(禍)가 생기면 어려움을 헤쳐나가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소서 절기에서부터 미월로 넘어가는 날이며, 남서쪽 방향을 나타냅니다. 이 달은 한여름이 가까워진 후반기로, 여름의 더위가 여전히 강하게 느껴지는 시기인 삼복 더위를 겪는 계절입니다.
식물에서는 꽃이 지고 나서 과일의 맛과 결실이 시작되는 시기로, 인간의 인생에서는 청년기를 지나 중년기로 접어들게 되는 시기를 나타냅니다. 미토는 음토로 분류되지만 열기를 함유한 메마른 토양으로, 기토와는 정반대의 특성을 갖습니다.
미의 성격은 차분하고 침착해 보이지만 속에 열기를 숨기고 있어 조급하고 폭발력이 있습니다.
타인을 배려하며 희생정신이 강하고 논리적인 화술로 말을 잘하는 편이지만, 너무 고집이 세고 자존심이 강해 자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간섭을 싫어하며 융화가 어려울 수 있고, 때로는 비관적인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9. 신금.양(申金.陽) 원숭이
신금(申金)은 간지(干支) 중 하나로, 여기서는 원숭이를 상징합니다. 간(干)은 천간(10개), 지(支)는 지지(12개)를 나타내는 중국의 운세 체계에서 파생된 것으로, 음양오행과 관련이 있습니다.
신금(申金)은 양의 금(金)으로, 음력 7월 신월(申月)에 해당합니다. 천간에 있는 경금(庚金)과 음양오행이 동일하며, 원숭이는 매우 재주 있고 영리하며 임기응변에 능한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신경질적일 때도 있고 변화무쌍한 성격으로 묘한 매력을 지녔습니다. 또한, 칭찬을 받으면 자존심을 높이는 특성이 있습니다.
입추(立秋) 절기에서 신월이 시작되며 서쪽을 나타내는 방향입니다. 계절적으로는 늦 여름에서 초가을로 넘어가는 시기로, 조석으로는 서늘한 기운이 느껴지면서 곡물과 백과의 결실이 풍부해지는 시기입니다. 인생에서는 청년기에서 인생의 완숙한 단계로, 중년에서 장년으로 순환되는 시기로 비유됩니다.
신금은 가공되지 않은 모든 쇠붙이와 철광석 등을 나타내며, 고집이 세고 의리가 돈독한 성격을 상징합니다. 순수하고 천진난만하며 결과 중시, 물질적인 가치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정에 소홀하고 자아 중심적인 경향이 있으며, 아집으로 인해 실패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인을 억압하려는 성향과 신경질적인 면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10. 유금.음(酉金.陰) 닭
유금(酉金)은 음의 금기로, 음력 8월인 유월(酉月)에 해당합니다. 여기서는 닭을 상징합니다. 천간에 있는 신금(辛金)과 음양오행이 동일하며, 유(酉)는 부지런하고 여명을 알리는 가축인 닭을 나타냅니다.
백로 절입 일시부터 유월이 시작되는 시기로, 정서쪽을 나타냅니다. 이 기운은 중추가절의 시작을 알리며 황야의 모든 곡식이 완전한 결실을 이루는 가을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신월에서 결실이 시작되어 유월에 완성되는 것은 중년에서 장년으로 넘어가는 과정으로 비유됩니다.
유금은 금속 중에서도 여러 가공과 변화를 거친 금속을 대표하며, 금속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냅니다. 양의 금기인 신금을 가공하고 제련한 금속은 내유외강하고, 감정표출이 명확하며 결백하고 총명하게 나타나는 존재로 특징지어집니다.
유금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기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과시욕이 강한 성격을 지닙니다.
이기적이거나 자기 중심적인 사고가 강하며 직선적인 성격으로 불화와 구설수를 일으키기 쉽습니다. 두려움을 모르며 사고가 많고, 과시욕과 색정이 강하여 남녀 간에 구설이 많을 수 있습니다.
11. 술토.양(戌土.陽) 개
술토(戌土)는 양의 토양으로, 음력 9월인 술월(戌月)에 해당합니다. 이는 가축인 개를 상징하며, 천간에 있는 무토(戊土)와 음양오행이 동일합니다. 개는 충성심과 복종심이 강하며 정직하고 예민하며 희생정신이 많은 동물로 민첩하고 다산하며 강한 정력을 가진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한로 절기부터 술월로 넘어가는 시기는 만추에서 엄동의 계절로 변화하며, 곡식을 수확하고 씨앗을 저장하고 보관하는 시기입니다. 인간의 노인 단계에 비유되며, 모든 문제를 정리하고 휴식에 들기 직전의 단계로 설명됩니다.
술토(戌土)는 화의 기운이 많은 양토(陽土)에 속하지만, 추수가 끝난 초겨울의 들판에서 만물을 감추거나 저장하는 토양을 나타냅니다. 산이나 제방, 큰 산성 등을 의미하며, 표정이 없고 듬직한 성격으로 특징지어집니다. 내색을 잘하지 않으면서 성실하고 침착하며 꾸준하고 일관성 있는 특성을 보입니다.
술토(戌土)는 말이 없듯이 표정이 없고 듬직한 성격으로, 성실하고 침착하며 희생정신이 뛰어나며 이해심과 포용력도 많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너무 냉철하거나 무례한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고집이 강하고 인색하며 주변을 잘 의식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속마음을 알기 어렵고 응큼한 행동이나 구설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12. 해수.양(亥水.陽) 돼지
해수(亥水)는 양의 물기로, 음력 10월인 해월(亥月)에 해당합니다. 천간에 있는 임수(壬水)와 음양오행이 동일하며, 돼지를 상징하는 동물입니다. 돼지는 유순하고 영리하며 인간에게 복과 행운을 가져다주는 친숙한 동물로 인식됩니다.
해월은 입동 절기에서 해수로 접어들며, 방향은 북쪽을 가리킵니다. 해(亥)는 초겨울로, 모든 생명체가 휴식기에 들어가는 시기를 나타냅니다. 이때 생명체들은 휴식을 취하고 노면에 대비하기 위해 준비를 합니다.
해(亥)는 휴식, 단절, 동면, 사망의 시작을 상징하며, 모든 것을 마무리하고 수확한 물질과 씨앗을 저장하는 시기입니다. 인간의 노년기를 나타내며, 일생의 삶을 마무리하는 시기로 해석됩니다.
해수(亥水)는 해, 강, 호수, 홍수 등의 거대한 물을 나타내며, 깨끗한 음수로서 불순물이 뒤섞이지 않은 물을 의미합니다. 물은 항상 하향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총명하고 유연하며 순발력이 뛰어나고 인정과 포용력이 많습니다.
사색적이고 집착이 강하며 새로움을 추구하며 생명과 관련된 분야에 관심이 많은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식복을 타고 나왔으며 선량하고 속내를 짐작하기 어렵고 변화무쌍한 성격입니다.
때로는 폭발적인 성정을 지닐 수 있으며, 혹간의 흑심을 품고 음흉하며 변덕이 심한 경우도 있습니다.
'사주풀이 해석 천간지지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풀이 : 일주 춘하추동 길흉 (0) | 2024.03.14 |
---|---|
사주팔자 : 일간 일주에서 60간지 - 地支解說 지지해설(원문) (0) | 2024.03.13 |
사주풀이 - 임수일주의 이해 (0) | 2024.03.12 |
60갑주 사주팔자 : 천간의 특성해설 (0) | 2024.03.12 |
60갑자 60간지 활용법 : 간지활용법(干支活用法) (0)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