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애관련 심리

애착유형 - 회피형 애착 (Avoidant Attachment) 자기긍정 타인부정

by 조꿈씨 2023. 9. 10.
728x90

거부 회피형 애착

자기긍정 타인부정(Avoidant Attachment)

애착유형을 이해하는건 오해보다 이해를 하기위해서 🫰

어떤유형이 나쁘고 좋다는 선입견보다는 이해가 먼저 수반되어야 한다

회피형 애착에서 

자기긍정 타인부정이 작용하는 원리

 

1️⃣자기보호 메커니즘: 회피형 애착은 일반적으로 감정적인 결핍을 경험하거나 이전에 상처를 입은 경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기보호 메커니즘이 발달하며, 감정적인 위험을 피하기 위해 감정적인 연결을 회피하려고 합니다.

 

2️⃣자기긍정 타인부정: 회피형 애착은 자신을 방어하고 보호하기 위해 종종 자기긍정을 강조하고 타인을 비난하거나 부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자신을 더 나은 상태로 보려는 시도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즉, 자신을 강조하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타인을 비난하거나 부정화하려고 합니다.

 

3️⃣감정적 거리 유지: 회피형 애착은 감정적인 거리를 유지하려고 하며, 이를 통해 자신을 감정적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자기와 타인 사이의 감정적 연결이 끊어지거나 약해질 수 있으며, 이것이 자기긍정을 강화하려는 시도와 관련됩니다.

 

4️⃣타인의 무능감 강조: 회피형 애착은 종종 타인의 무능감을 강조하며, 자신을 비교적 더 강력하고 능력있게 보려고 합니다. 이는 감정적인 위험을 회피하고 자신을 방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5️⃣감정 표현의 억누름: 회피형 애착은 종종 감정을 억누르거나 숨기는 경향이 있어, 자신의 감정을 충분히 표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감정적 연결이 부족하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으며, 이는 자기긍정을 강조하려는 시도와 연결됩니다.

🚶‍♂️ 회피형 애착의 특징

🔔감정적인 거리: 회피형은 감정적인 거리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다른 사람과 감정적으로 가까워지는 것을 어려워하며, 감정적인 연결을 만들기 어려워합니다.

 

🔔독립성 강조: 개인적 독립성을 중요하게 여기며, 자신만의 공간과 시간을 중요시합니다. 독립성을 유지하려고 하며, 종종 자기 능력과 자기만족감을 강조합니다.

 

🔔감정 표현의 제한: 회피형 애착은 종종 감정을 억누르거나 숨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에게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려고 합니다.

 

🔔감정적인 위험 회피: 감정적인 위험을 피하려고 노력합니다. 감정적으로 연결될 때 발생할 수 있는 감정적인 상처나 위험을 회피하려고 합니다.

 

🔔타인의 의존 회피: 다른 사람들에게 감정적으로 의존하거나 도움을 청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자기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감정적인 스크린닝: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할 때 감정적인 위험을 인식하고, 감정적으로 가까워질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경계합니다.

 

🔔과도한 독립: 회피형 애착은 종종 과도한 독립성을 추구하여, 다른 사람들과의 연결을 희생할 수 있습니다.

 

🚶‍♂️다른유형들과의 차이점 

🤝 안정형 vs. 회피형

-안정형: 안정형 애착은 감정적으로 안정적이며, 대인 관계에서 신뢰와 안전성을 중요시합니다. 상대방과의 근접성과 연결을 추구하며, 감정적으로 열린 태도를 가집니다. 대화와 협력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회피형: 회피형 애착은 감정적인 거리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독립성을 강조하며, 다른 사람과의 감정적인 연결을 피하거나 제한합니다. 감정 표현이 제한적이고 갈등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 불안형 vs. 회피형

-불안형: 불안형 애착은 대인 관계에서 과도한 불안과 불안정한 감정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타인에 대한 의존과 불안을 느끼며, 상대방의 감정적인 표현에 민감합니다. 상대방의 일부로서의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려고 합니다.

 

-회피형: 회피형 애착은 감정적 거리를 유지하고 자기보호를 중시합니다. 타인에 대한 의존을 억누르고 독립성을 강조하며, 감정적인 위험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 혼돈형 vs. 회피형

-혼돈형: 혼돈형 애착은 상반된 감정과 욕구를 동시에 경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관계에서 예측 불가능하고 비안정한 행동을 보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인 관계에서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회피형: 회피형 애착은 감정적인 거리를 유지하며 독립성을 강조합니다. 불안정한 감정을 경험하기보다는 감정 표현을 제한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각각의 애착 스타일이 대인 관계에서 다르게 상호 작용하고 감정을 처리하는 방식을 나타냅니다.

🤝 회피형 애착의 갈등 해결 방식

1️⃣감정 억누름: 회피형 애착은 감정을 억누르거나 숨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갈등 상황에서도 감정을 표현하지 않으려고 하며, 자신의 불안을 숨기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2️⃣갈등 회피: 회피형 애착은 갈등을 피하려고 합니다. 이를 통해 갈등 상황을 회피하거나 무시하려고 하며, 갈등을 일으키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3️⃣자기보호와 독립성 강조: 개인적 독립성을 중요시하며, 갈등 상황에서 자기를 보호하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자기 보호를 우선시하며 감정적인 연결을 피하려고 합니다.

 

4️⃣자기 감정의 무시: 갈등 상황에서 회피형 애착은 종종 자신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억누르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자기 감정을 인식하지 않거나 다른 감정으로 대체하기도 합니다.

 

회피형 애착은 갈등 상황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갈등 해결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이해하고 인식함으로써 상대방과 협력하여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다른 사람과의 연결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회피형 애착의 연애방식

♦️감정적 거리: 회피형 애착은 연애 관계에서도 감정적 거리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상대방과의 감정적 가까움을 어려워하며, 감정적인 연결을 피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독립성 강조: 자기 독립성을 중요시하며, 개인적인 공간과 시간을 소중히 여깁니다. 상대방에게 감정적으로 의존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자기 자신의 필요와 욕구를 우선시합니다.

 

♦️감정 표현의 제한: 회피형 애착은 종종 감정 표현을 제한하거나 억누릴 수 있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표현하는 것보다는 감정을 내면에 감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정적인 위험 회피: 감정적인 위험을 피하려고 합니다. 연애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이나 감정적인 상처를 피하려고 노력하며, 이를 위해 감정적인 연결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타인의 의존 회피: 상대방에게 감정적으로 의존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자기 문제나 감정적인 어려움을 스스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회피형 애착의 연애방식은 주로 감정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자기 보호와 독립성을 중시합니다. 이러한 특징을 이해하고 상대방과의 관계를 보다 조화롭게 만들기 위한 노력과 상호 양해가 필요합니다.

 

 

728x90